이산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산》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방영된 MBC의 월화 드라마로,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일대기를 다룬 사극이다. 사도세자의 아들로 태어나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고난과 개혁 정치를 펼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정조와 후궁 성송연, 호위무사 박대수 간의 우정과 사랑을 그린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붕당 정치의 갈등, 암살 위협, 개혁 정치 등을 다루며, 이서진, 한지민, 이순재 등이 출연했다. 최고 시청률 35.5%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일본, 루마니아 등 해외에서도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어사 박문수
《어사 박문수》는 1981년 MBC에서 방영된 조선시대 어사 박문수의 활약상을 그린 드라마이다.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2014년 SBS 드라마로, 사도세자가 친구의 죽음의 진실을 파헤치며 아버지 영조의 숨겨진 비밀과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궁중 암투와 정치적 음모를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픽션적 요소를 가미했다. - 김이영 시나리오 작품 - 마의 (드라마)
마의는 조선 시대 최초 한방 외과의 백광현의 파란만장한 삶과 의학 세계, 그리고 마의에서 어의가 되는 성공 스토리를 그린 휴머니즘 드라마다. - 김이영 시나리오 작품 - 백만장자와 결혼하기
2005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백만장자와 결혼하기》는 가짜 백만장자 김영훈과 계모의 구박을 받는 한은영의 사랑 이야기와, 유진하 PD에 의해 백만장자로 포장된 김영훈이 리얼리티 쇼에 출연하며 벌어지는 사건들을 그린다.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세기 초 조선의 정치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안성기, 조재현, 김혜수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여 정조와 정적들의 권력 투쟁과 음모를 그린 영화로, 1995년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조선시대 성균관을 배경으로 여성이 남장하여 입학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역사적 배경 묘사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메시지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한류 드라마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이산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
작가 | 김이영 |
감독 | 이병훈 |
출연 | 이서진 한지민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횟수 | 77 |
제작사 | 김종학 프로덕션 |
방송사 | MBC TV |
원제 | |
한글 | 이산 |
로마자 표기 | Yi San |
제작진 | |
기획 | 조주 |
프로듀서 | 박창식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정조 |
2. 역사적 배경
2. 1. 사도세자의 죽음과 정조의 즉위 과정
2. 2. 붕당 정치의 폐해와 정조의 개혁 정치
2. 3. 조선 후기 사회 변화와 실학의 등장
3. 주요 등장인물
wikitext
: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의 외아들.
: 정조의 연인. 궁중 화가의 딸이며 예술에 대한 애정이 깊다.
: 정조가 가장 아끼는 군인.
- 견미리 - 혜경궁(홍씨) [8]
: 정조의 어머니.
- 박은혜 - 효의왕후
: 정조의 정실 부인. 청풍 김씨 가문 출신.
: 정조의 할아버지. 산이 왕위를 계승하기 전 조선의 제21대 국왕.
- 김여진 - 정순왕후
: 영조의 계비.
: 영조의 사랑을 받는 딸.
- 조연우 - 정후겸
: 화완옹주의 양자.
- 한상진 - 홍국영
: 정조의 오른팔이자 혜경궁의 먼 친척.
- 송창의 - 정약용
: 성균관(유생) 출신이자 남인(세력)의 일원.
- 이잎새 - 양초비
: 도화서의 ''다모''.
: 정순왕후의 오빠이자 노론의 일원.
- 맹상훈 - 남사초
: 산의 수석 환관.
: 산의 행정 보좌관이자 형조 판서.
- 지상렬 - 이천
: 도화서의 화원.
- 유민혁 - 탁지수
: 도화서의 또 다른 화원.
- 차재돌 - 문효세자
: 정조와 의빈 성씨의 어린 아들. 4세의 나이로 사망.
- 이창훈 - 사도세자 역
: 정조의 아버지이자 영조의 아들.
3. 1. 정조 (이산)
박지빈 → 이서진 : 정조 이산 역[5]조선의 제22대 왕[32].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영조의 손자이다.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의 외아들이다.[5] 11세 때 노론의 음모로 인해 아버지가 형을 당하기 직전에 성송연, 박대수 등과 만나 신분을 초월한 우정을 맺는다. 아버지가 형을 당한 후 노론의 여러 신하들이 "죄인의 아들은 왕이 될 수 없다"라고 주장했기에, 영조의 장남인 효장세자의 양자가 되어 영조의 후계자(세손)가 된다.[18]
타고난 통찰력과 명석한 두뇌는 할아버지 영조에게서 물려받았지만, 인간에 대한 따뜻한 견해가 할아버지와는 다르다. 학문을 좋아하고, 무예에도 뛰어났다. "성군이 되라"는 아버지의 유지를 이어 왕이 되기로 결심하고, 할아버지인 영조에게서 후계자로서 많은 것을 배우며, 성장 후에는 아버지를 죽음에 이르게 한 노론을 멀리하고, 소론이나 남인 등 신하들을 곁에 두어 노론을 견제하게 되지만, 즉위를 막으려는 노론의 적대 세력에게 목숨을 노려진다.
25세에 즉위할 때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신하들에게 선언하고, 아버지의 무죄와 정당성을 밝혔다.[18] 수원 화성으로 대표되는 뛰어난 건설 기술과 새로운 문물의 서학 도입 등, 조선 말기 문화의 꽃을 피웠으며,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 (조선 제4대 국왕)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호학의 왕으로서 명예가 높지만, 생애에 10회 이상 반대 세력의 자객에 의한 암살 미수 사건을 겪는 파란만장한 인생을 보냈다.
1800년 6월, 병세가 악화되어 49세의 나이로 예기치 않은 죽음을 맞이한다. 묘는 천도 예정이었던 수원에 위치하며, 아버지인 장헌세자 (장헌세자)의 융릉 옆에 건릉으로 조성되었다.[18]
3. 2. 의빈 성씨 (성송연)
한지민이 연기한 성송연은 정조의 후궁이다.[6][32] 어린 시절은 이한나가 연기했다. 성송연은 궁중 화가의 딸로, 예술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6] 뛰어난 그림 실력을 바탕으로 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정조의 사랑을 받았다.[32]드라마 내에서 성송연과 관련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도화서에는 성송연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었다.
성송연은 문효세자를 낳았으나, 문효세자는 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3. 영조
이순재가 연기한 영조(조선)는 조선의 제21대 왕이자 정조의 할아버지이다.[32] 영조는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게 한 비정한 아버지로 그려진다. 영조의 정실 부인인 정순왕후 김씨(김여진 분)는 노론파를 묶는 흑막으로, 이산의 폐위를 꾀하며 수많은 책략을 펼친다. 영조의 측실 영빈의 딸이자 사도세자의 동복 여동생인 화완옹주(손현아 분)는 야심가이며, 노론파와 결탁하여 오빠 사도세자를 형사(刑死)로 몰아넣은 장본인이기도 하다. 화완옹주는 정후겸을 양자로 맞이하여 이산의 폐위와 암살을 꾀한다.[13][22][23][24]3. 4. 홍국영
정조의 최측근으로, 뛰어난 지략과 정치력을 가진 인물이었다.[25][26] 한상진이 연기했다.[32]홍국영은 왕세손 시절부터 이산을 보좌한 최측근으로, 양반 출신이다. 궁중 입성을 희망하는 테스에게 무과의 강의를 하기도 했다. 홍인한의 먼 친척이며, 정후겸으로부터 파벌 가입 제의를 받았지만 거절하고 이산의 편에 서서 그의 오른팔이 되었다.
정조 즉위 후 절대적인 권력을 손에 넣었으나, 여동생인 원빈 홍씨가 정조의 측실로 들어가면서 외척으로서 힘을 얻게 하려는 혜경궁과 외척이 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효의왕후 김씨 사이에서 갈등한다. 결국 권력에 대한 유혹에 져서 "충성을 다하고 외척이 되어 힘을 얻으라"는 혜경궁의 뜻에 따르게 되면서 "모든 것은 임금님을 위해서"라는 마음가짐도 점차 권력에 대한 욕심으로 변질된다.
정순왕후 김씨에게 약점을 잡힌 데다, 원빈 사후에도 운흥군 자녀 완풍군을 여동생의 양자로 삼아 외척의 길을 다시 열려고 했다. 또한 여동생의 임신・유산 위증 건으로 효의왕후에게 죄를 덮어씌우려다 발각되어 효의왕후와 대립하게 되고, 복수심에 불타게 된다.
결국 노론파와 내통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효의왕후에게 발각되어 입막음을 위해 효의왕후 암살 계획을 실행에 옮기지만, 직전에 마음을 바꾸었다. 하지만 자신을 진심으로 신뢰하는 이산을 독살하려 했다는 죄책감에 자수하고, 고문 끝에 사형에 처해지려다 암살을 포기한 점이 참작되어 강릉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도 군제 개혁을 상소했지만 폐병에 걸려 이산과 테스가 지켜보는 가운데 사망했다. 그의 장례는 유배지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3. 5. 박대수
박대수는 조선 제22대 군왕 정조의 호위 무사로, 정조와 어린 시절부터 함께한 충직한 인물이다.[7] 이종수(아역: 권오민)가 연기했다. 실존 인물 백동수를 모델로 하였으나, 드라마 후반부에 실제 백동수가 잠깐 등장한다.3. 6. 혜경궁 홍씨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로, 홍봉한의 딸이다. 견미리가 연기했다.노론파의 음모로 인해 사도세자가 죽은 후, 왕의 후계자가 된 아들 산의 폐위를 꾀하는 정순왕후와 노론파에 항거하지 못하고 궁중에서 우울하게 지냈다. 산이 즉위한 후, 성송연을 정조의 측실로 들일 뜻을 효의왕후에게 들었을 때 신분이 낮은 것을 이유로 격분했다. 이는 단순히 신분 차이 때문만이 아니라, 효의왕후의 여관인 김상궁으로부터 성송연에 대해 있지도 않은 말을 들은 것이 원인이었다.
홍국영의 여동생 원빈 홍씨를 측실로 맞이하도록 정조에게 의견을 묻지도 않고 강압적으로 주선했다. 그러나 원빈이 거짓을 일삼고 보신을 꾀한 것을 알고 실망하여 외면했고, 병에 걸린 원빈을 문병하려는 왕비에게 "벌을 받은 자의 곁에 갈 필요는 없다"고 막았다. 이는 훗날 홍국영과 왕비 사이에 대립을 초래하여 홍국영 실각의 원인이 된다.
처음에는 측실로 온 성송연을 냉대했지만, 이후 그녀의 활약으로 결국 "왕족"으로 인정했다. 손자인 문효세자를 끔찍이 아꼈고, 홍역으로 사망하자 "어째서 내가 대신 죽지 못했는가"라며 슬퍼했다. 성송연이 죽자 생전에 더 잘해주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궁중에서 자신의 일생을 기록한 자서전 한중록을 저술했다.
3. 7. 정순왕후
김여진이 연기한 정순왕후는 조선 제21대 군왕 영조의 계비로, 사도세자의 법모이자 조선 제22대 군왕 정조의 법적 할머니이다. 정순(정순) 대비는 노론파를 묶는 흑막으로, 정조의 즉위를 반대하고 산(정조)의 폐위를 꾀하며 수많은 책략을 펼쳤다. 음모가 드러나 왕명에 의해 폐위되지만, 왕의 사후 영조의 선지는 발포되지 않고 가순당(嘉靖堂)에 연금되었다. 이후 홍국영의 야심에 편승하여 다시 궁중에 돌아왔다.정순왕후는 장태우의 힘을 두려워하여 그를 조정에서 추방한 과거가 있으며, 자살 미수 후 위증을 하거나 홍국영에게 태우의 상소문을 넘겨주는 등 정치적 술책에 능했다. 원빈의 가짜 임신을 간파하는 등 넓은 시야를 가졌다. 영조 생전에는 은전군을, 정조 즉위 후에는 완풍군을 동궁에 봉하고 수렴청정을 펼치려 했다. 영조의 유언장을 빼앗으려 암약했지만, 제76화의 모반을 계기로 단죄되어 모든 것을 잃고 가순당으로 되돌려졌다.
3. 8. 화완옹주
영조의 딸이자 사도세자의 동복동생이며 정조의 고모이다. 권력을 탐하는 인물로, 노론과 결탁하여 오빠인 사도세자를 형사(刑死)로 몰아넣은 장본인이기도 하다. 정후겸을 양자로 삼아 정조의 폐위와 암살을 꾀하였으며, 정조를 제거한 후에는 정후겸을 왕위에 앉히는 것을 원했다. 정조 즉위 시 모반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평민으로 강등되어 유배되었으며, 유배를 떠나면서 정조에게 복수를 다짐했다.드라마에서는 성현아가 화완옹주 역을 맡았다.
3. 9. 효의왕후
박은혜가 정조의 정비 효의왕후 역을 연기했다. 10살 때 산과 혼인하여 빈궁이 되었고, 정조 즉위 후 왕비가 되었다. 성격은 온화하고 상냥하지만 의연한 면도 있으며, 산과 성송연의 관계에 질투를 느끼기도 하지만, 밝고 재능 있는 성송연을 따뜻하게 지켜본다. 정조에게 안정을 줄 수 있는 여자는 성송연밖에 없다고 확신하여, 혜경궁 등의 반대를 무릅쓰고 성송연을 후궁으로 권하기도 했다.정조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얻지 못해, 궁중에서 측실을 맞이하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원빈과의 일로 인해 홍국영의 모략으로 무고한 죄를 뒤집어쓰기도 했다. 그러나 성송연으로부터 원빈이 익모초[22]를 마시는 것을 듣고 그녀가 가짜 임신이었음을 간파하여, 홍국영 남매에 대한 공세에 나섰다.
원빈의 죽음 후, 홍국영은 자신의 입지가 효의왕후 때문에 위협받게 되자[23] 여동생의 복수와 입막음을 위해 효의왕후를 암살하려 했으나, 성송연을 문병하러 간 덕분에 암살 계획은 미수에 그쳤다. 홍국영이 자신을 죽이려 했다는 것과 유배된 그가 죽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양심의 가책에 시달리는 묘사가 있다.
3. 10. 기타 등장인물
- 신충식: 홍봉한 역. 영조의 최측근이자 사도세자의 장인이며 혜경궁 홍씨의 부친으로 정조의 외조부이다.
- 나성균: 홍인한 역 (47회 하차). 노론 실세이자 홍봉한의 동생으로 혜경궁 홍씨의 숙부이다.
- 이재용: 장태우 역 (실존 인물 김종수를 모델로 함). 노론의 실세이자 훗날 의정부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한다.
- 조경환: 최석주 역 (실존 인물 심환지를 모델로 함). 노론 실세이자 정순왕후의 측근으로, 훗날 이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한다.
- 정명환: 김귀주 역 (23회 ~ 47회). 영조의 처남이자 정순왕후의 오빠로, 원래 남인이었으나 노론계와 가깝게 지내며 당색을 노론으로 바꿨다.
- 이인성 → 조연우: 정후겸 역 (3회 ~ 47회). 화완옹주의 양자이다.
- 한인수: 채제공 역 (76회 하차). 정조의 최측근이자 남인계 인물이다.
- 한상혁: 윤창윤 역. 정조의 후궁 화빈 윤씨의 부친이다.
- 이경영: 한준호 역 (10회 ~ 14회).
- 송창의: 정약용 역 (67회 ~ 77회). 정조의 최측근이다.
- 추헌엽: 유득공 역. 정조의 측근이다.
- 정재곤: 박제가 역. 정조의 측근이다.
- 신성균: 이덕무 역. 정종의 후손이자 정조의 측근이다.
- 신국: 별제 박영문 역
- 강상구: 별제 강두치 역
- 지상렬: 화원 이천 역
- 유민혁: 화원 탁지수 역
- 이승아: 다모 황미수 역
- 김유진: 다모 시비 역
- 한지원: 다모 세모 역
- 이슬아: 다모 네모 역
- 오지은: 다모 여진 역
- 이경인: 감사용 역
- 금세웅: 영조 시기 상선 역 (1회 ~ 44회). 영조의 상선이다.
- 이숙: 강미비 역. 정순왕후의 상궁이다.
- 맹상훈: 상선 남사초 역. 정조의 상선이다.
- 최예진: 대전 박상궁 역
- 이희도: 상약 박달호 역
- 백현숙: 이조모 역. 혜경궁 홍씨의 상궁이다.
- 안여진: 곽미금 역 (1회 ~ 47회). 화완옹주의 상궁이다.
- 김소이: 김정금 역 (8회 ~ 77회). 효의왕후의 상궁이다.
- 이상미: 최상궁 역 (48회 ~ 59회). 원빈 홍씨의 상궁이다.
- 김희라: 상궁 역 (67회 ~ 72회). 화빈 윤씨의 상궁이다.
- 이잎새: 양초비 역 (5회 ~ 77회). 의빈 성씨의 상궁이다.
- 김성실: 백동수 역
- 서범식: 서장보 역 (가공 인물)
- 장희웅: 강석기 역 (가공 인물)
- 오현수: 익위사장 역 (가공 인물)
- 이다윗: 은언군 이인 역. 사도세자의 셋째 아들이자 서장자로 정조의 이복동생이다.
- 강산: 은전군 이찬 역. 사도세자의 다섯째 아들이자 정조의 이복동생이다.
- 최원홍: 상계군 이담 역. 사도세자의 서손이자 은언군의 아들이다.
- 차재돌: 문효세자 이순 역 (72회 ~ 73회). 정조의 장자이자 의빈 성씨의 소생으로 순조의 형이다.
- 이지민: 순조 이공 역 (77회). 정조의 차남이자 수빈 박씨의 소생으로 문효세자의 동생이며, 훗날 조선 제23대 군왕이 된다.
- 박준목: 박천수 역 (가공 인물)
- 전예찬: 어린 내관 역 (가공 인물)
- 유정석: 성송욱 역 (의빈 성씨의 남동생)
- 정호근: 민주식 역
- 손일권: 오정호 역
- 경인선: 주모 막선 역
- 이정용: 자객 신검 역
- 백민: 어의 역
- 황일청: 도사 기천익 역 (규장각 직제학)
- 맹봉학: 이조정랑 역
- 조재윤: 깍정이 역
- 이정성: 청나라 사신단 태감 역
- 미상: 청나라 사신 역
- 미상: 청나라 재상 역
- 이창훈: 사도세자 역. 영조의 차남이자 영빈 이씨의 소생으로 훗날 정조의 생부이다.
- 최정우: 사도세자를 돕는 내관 역 (가공 인물)
- 유재석: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박명수: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정준하: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정형돈: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노홍철: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하동훈: 2008년 1월 14일 방송 분
- 임현식: 음담서생 역
- 유정석: 성송욱 역. 송연의 남동생
- 정호근: 민주식 역
- 손일권: 오정호 역
- 경인선: 막선 역
- 이정용: 신검 역
- 백민: 어의 역
- 황일청
- 맹봉학
- 조재윤: 깍정이 역
- 이정성
분류:문화방송 월화드라마
분류:조선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조선 영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궁중 암투를 소재로 한 작품
분류:2007년 드라마
분류:2008년 드라마
분류:이병훈 연출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김근홍 연출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분류:한국방송공사 2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일본에서 더빙된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베트남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조선로동당 창건일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타이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터키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폴란드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이란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텔레비전 유니온 만달레이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싱가포르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말레이시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캐나다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인도네시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요르단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루마니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스리랑카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인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우즈베키스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카자흐스탄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피지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무한도전 멤버가 출연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연출자 이병훈·김근홍
분류:극본 김이영
분류:조선 정조 시대
분류:조선 시대 사람
분류:조선 왕족
분류:조선
분류:역사
분류:사극
분류: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정치 드라마
분류:로맨스 드라마
분류:조선 왕실
분류:한국의 역사 드라마
분류:한국 드라마
분류:2000년대 드라마
분류:2007년 시작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2008년 종료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문화방송
분류:MBC 드라마
분류:월화 드라마
분류:역사적 인물
분류:조선시대 역사
분류:한국 문화
분류:한국의 텔레비전 시리즈
분류:역사 소설
분류:시대극
분류: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분류:사극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역사 드라마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한국의 시대극
분류: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한국의 역사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역사물
분류:조선시대 배경 작품
분류:정조
분류:TV 프로그램
분류:역사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대한민국
분류:한국
분류:드라마 시리즈
분류:텔레비전 시리즈
분류:TV 시리즈
분류:2007년 텔레비전 시리즈
분류:2008년 텔레비전 시리즈
분류:한국의 문화
분류:텔레비전 드라마 에피소드 목록
분류:사극 드라마
분류:역사 픽션
분류:조선시대
분류:조선시대의 정치
분류:한국사
분류:조선 왕조
분류:한국의 군주제
분류:한국의 왕
분류:조선의 왕
분류:한국의 역사적 인물
분류:조선의 역사적 인물
분류:조선시대 인물
분류:조선 사람
분류:조선의 정치인
분류:조선시대 정치
분류:한국 정치
분류:조선의 관료
분류:조선시대 관료
분류:조선 왕실 인물
분류:조선의 후궁
분류:조선시대 후궁
분류:조선의 여성
분류:조선시대 여성
분류:조선시대 사람 목록
분류:한국 사람 목록
분류:한국 인물 목록
분류:인물 목록
분류:목록
분류:역사 인물
분류:정치인
분류:관료
분류:왕족
분류:후궁
분류:여성
분류:사람
분류:인물
분류:조선시대의 문화
분류:한국의 문화유산
분류:조선의 미술
분류:조선시대 미술
분류:한국 미술
분류:미술
분류:예술
분류:문화
분류:유산
분류:조선의 학자
분류:조선시대 학자
분류:한국의 학자
분류:학자
분류:조선의 사상
분류:조선시대 사상
분류:한국의 사상
분류:사상
분류:조선의 문학
분류:조선시대 문학
분류:한국 문학
분류:문학
분류:조선의 과학
분류:조선시대 과학
분류:한국의 과학
분류:과학
분류:조선의 기술
분류:조선시대 기술
분류:한국의 기술
분류:기술
분류:조선의 사회
분류:조선시대 사회
분류:한국의 사회
분류:사회
분류:조선의 군사
분류:조선시대 군사
분류:한국의 군사
분류:군사
분류:조선의 외교
분류:조선시대 외교
분류:한국의 외교
분류:외교
분류:조선의 국제 관계
분류:조선시대 국제 관계
분류:한국의 국제 관계
분류:국제 관계
분류:조선과 청나라 관계
분류:조선-청나라 관계
분류:조선과 일본 관계
분류:조선-일본 관계
분류:한국과 청나라 관계
분류:한국-청나라 관계
분류:한국과 일본 관계
분류:한국-일본 관계
분류:청나라
분류:일본
분류:관계
분류:국가 관계
분류:나라 관계
분류:조선의 사건
분류:조선시대 사건
분류:한국의 사건
분류:사건
분류:조선의 반란
분류:조선시대 반란
분류:한국의 반란
분류:반란
분류:조선의 암살
분류:조선시대 암살
분류:한국의 암살
분류:암살
분류:조선의 정치 스캔들
분류:조선시대 정치 스캔들
분류:한국의 정치 스캔들
분류:정치 스캔들
분류:스캔들
분류:조선의 음모
분류:조선시대 음모
분류:한국의 음모
분류:음모
분류:조선의 쿠데타
분류:조선시대 쿠데타
분류:한국의 쿠데타
분류:쿠데타
분류:조선의 전쟁
분류:조선시대 전쟁
분류:한국의 전쟁
분류:전쟁
분류:조선시대의 복식
분류:한국의 복식
분류:복식
분류:의복
분류:옷
분류:조선시대의 음식
분류:한국의 음식
분류:음식
분류:요리
분류:음식과 음료
분류:조선시대의 건축
분류:한국의 건축
분류:건축
분류:건물
분류:건축물
분류:조선시대의 무기
분류:한국의 무기
분류:무기
분류:조선시대의 교통
분류:한국의 교통
분류:교통
분류:조선시대의 통신
분류:한국의 통신
분류:통신
분류:조선시대의 교육
분류:한국의 교육
분류:교육
분류:조선시대의 종교
분류:한국의 종교
분류:종교
분류:조선시대의 철학
분류:한국의 철학
분류:철학
분류:조선시대의 법
분류:한국의 법
분류:법
분류:조선시대의 형벌
분류:한국의 형벌
분류:형벌
분류:처벌
분류:조선시대의 사형
분류:한국의 사형
분류:사형
분류:죽음
분류:조선시대의 고문
분류:한국의 고문
분류:고문
분류:조선시대의 노비
분류:한국의 노비
분류:노비
분류:노예
분류:조선시대의 궁녀
분류:한국의 궁녀
분류:궁녀
분류:궁중 여성
분류:조선시대의 내시
분류:한국의 내시
분류:내시
분류:환관
분류:조선시대의 의관
분류:한국의 의관
분류:의관
분류:의사
분류:조선시대의 역관
분류:한국의 역관
분류:역관
분류:통역사
분류:조선시대의 화가
분류:한국의 화가
분류:화가
분류:예술가
분류:조선시대의 문인
분류:한국의 문인
분류:문인
분류:작가
분류:조선시대의 시인
분류:한국의 시인
분류:시인
분류:조선시대의 학자
분류:한국의 학자
분류:학자
분류:조선시대의 실학자
분류:한국의 실학자
분류:실학자
분류:조선시대의 유학자
분류:한국의 유학자
분류:유학자
분류:조선시대의 성리학자
분류:한국의 성리학자
분류:성리학자
분류:조선시대의 무신
분류:한국의 무신
분류:무신
분류:군인
분류:조선시대의 장군
분류:한국의 장군
분류:장군
분류:장교
분류:조선시대의 군인
분류:한국의 군인
분류:군인
분류:조선시대의 상인
분류:한국의 상인
분류:상인
분류:조선시대의 천민
분류:한국의 천민
분류:천민
분류:조선시대의 백성
분류:한국의 백성
분류:백성
분류:조선시대의 농민
분류:한국의 농민
분류:농민
분류:조선시대의 어민
분류:한국의 어민
분류:어민
분류:어부
분류:조선시대의 광대
분류:한국의 광대
분류:광대
분류:연예인
분류:조선시대의 기생
분류:한국의 기생
분류:기생
분류:조선시대의 무당
분류:한국의 무당
분류:무당
분류:샤먼
분류:조선시대의 승려
분류:한국의 승려
분류:승려
분류:불교 승려
분류:조선시대의 천주교 신자
분류:한국의 천주교 신자
분류:천주교 신자
분류:가톨릭 신자
분류:조선시대의 개신교 신자
분류:한국의 개신교 신자
분류:개신교 신자
분류:기독교 신자
분류:조선시대의 왕족
분류:한국의 왕족
분류:왕족
분류:조선시대의 왕비
분류:한국의 왕비
분류:왕비
분류:조선시대의 후궁
분류:한국의 후궁
분류:후궁
분류:조선시대의 왕세자
분류:한국의 왕세자
분류:왕세자
분류:조선시대의 왕세손
분류:한국의 왕세손
분류:왕세손
분류:조선시대의 대군
분류:한국의 대군
분류:대군
분류:조선시대의 군
분류:한국의 군
분류:군
분류:조선시대의 옹주
분류:한국의 옹주
분류:옹주
분류:조선시대의 공주
분류:한국의 공주
분류:공주
분류:조선시대의 세자빈
분류:한국의 세자빈
분류:세자빈
분류:조선시대의 세손빈
분류:한국의 세손빈
분류:세손빈
분류:조선시대의 부마
분류:한국의 부마
분류:부마
분류:조선시대의 종친
분류:한국의 종친
분류:종친
분류:조선시대의 외척
분류:한국의 외척
분류:외척
분류:조선시대의 권신
분류:한국의 권신
분류:권신
분류:조선시대의 역적
분류:한국의 역적
분류:역적
분류:반역자
분류:조선시대의 자객
분류:한국의 자객
분류:자객
분류:암살자
분류:조선시대의 탐관오리
분류:한국의 탐관오리
분류:탐관오리
분류:부패 관리
분류:조선시대의 충신
분류:한국의 충신
분류:충신
분류:조선시대의 열녀
분류:한국의 열녀
분류:열녀
분류:조선시대의 효자
분류:한국의 효자
분류:효자
분류:조선시대의 의적
분류:한국의 의적
분류:의적
분류:조선시대의 도적
분류:한국의 도적
분류:도적
분류:도둑
분류:조선시대의 화적
분류:한국의 화적
분류:화적
분류:산적
분류:조선시대의 해적
분류:한국의 해적
분류:해적
분류:조선시대의 왜구
분류:한국의 왜구
분류:왜구
분류:조선시대의 여진족
분류:한국의 여진족
분류:여진족
분류:조선시대의 청나라 사람
분류:한국의 청나라 사람
분류:청나라 사람
분류:조선시대의 일본 사람
분류:한국의 일본 사람
분류:일본 사람
분류:조선시대의 몽골 사람
분류:한국의 몽골 사람
분류:몽골 사람
분류:조선시대의 외국인
분류:한국의 외국인
분류:외국인
분류:조선시대의 노예 상인
분류:한국의 노예 상인
분류:노예 상인
분류:인신매매범
분류:조선시대의 포도대장
분류:한국의 포도대장
분류:포도대장
분류:포도청 대장
분류:조선시대의 의금부 판사
분류:한국의 의금부 판사
분류:의금부 판사
분류:조선시대의 사헌부 대사헌
분류:한국의 사헌부 대사헌
분류:사헌부 대사헌
분류:조선시대의 사간원 대사간
분류:한국의 사간원 대사간
분류:사간원 대사간
분류:조선시대의 홍문관 대제학
분류:한국의 홍문관 대제학
분류:홍문관 대제학
분류:조선시대의 승정원 도승지
분류:한국의 승정원 도승지
분류:승정원 도승지
분류:조선시대의 의정부 영의정
분류:한국의 의정부 영의정
분류:의정부 영의정
분류:조선시대의 의정부 좌의정
분류:한국의 의정부 좌의정
분류:의정부 좌의정
분류:조선시대의 의정부 우의정
분류:한국의 의정부 우의정
분류:의정부 우의정
분류:조선시대의 육조
분류:한국의 육조
분류:육조
분류:조선시대의 이조판서
분류:한국의 이조판서
분류:이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호조판서
분류:한국의 호조판서
분류:호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예조판서
분류:한국의 예조판서
분류:예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병조판서
분류:한국의 병조판서
분류:병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형조판서
분류:한국의 형조판서
분류:형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공조판서
분류:한국의 공조판서
분류:공조판서
분류:조선시대의 이조참판
분류:한국의 이조참판
분류:이조참판
분류:조선시대의 호조참판
분류:한국의 호조참판
4. 드라마 줄거리
임오년 1762년 윤 5월, 훗날 정조가 되는 세손 산은 상직소환(어린 내관)으로 위장하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갇혀있는 창덕궁 시민당으로 향한다. 그 때 생각시 송연(훗날 의빈 성씨), 내관이 되기 싫어 궐을 탈출하려던 대수(모티브 백동수)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산은 송연과 대수의 도움을 받아 영조에게 사도세자의 그림을 전하지만, 그 순간 이미 사도세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좌절한다. 이 일로 송연과 대수는 궐에서 쫓겨나지만 산을 원망하지 않고, 세 사람은 평생을 함께 할 동무가 되기로 약속한다.
9년 후 1771년, 정후겸은 산을 곤경에 빠뜨리기 위해 청국에 조공할 백우포를 훔친다. 이때 도화서 다모가 된 송연이 황우포를 호분(백색 안료)으로 염색하는 기지를 발휘하여 이를 해결하고, 산과 재회한다. 산과 송연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지만, 사도세자가 궐 밖 여인을 들인 일로 영조의 미움을 샀던 일이 재현될까 두려운 혜경궁 홍씨는 송연을 청국 예부사 화원으로 떠나게 한다.
송연이 떠난 뒤에야 자신의 마음을 깨달은 산은 5년 후 1776년, 우여곡절 끝에 송연이 돌아오고 사도세자의 진심을 알게 된 영조는 눈물로 후회하며 숨을 거둔다.
임금이 된 산은 역모와 홍국영의 변심 등 여러 시련을 겪으면서도 백성들을 위한 개혁 정치를 펼친다. 조선 제22대 국왕인 '''정조'''는 조정 내 파벌 다툼에도 불구, 즉위 후 끊임없이 생명의 위협을 받으면서도 정치 개혁에 착수한다. 그는 노론과 대립하는 소론 및 남인을 지지하여 항상 노론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았지만, 어린 시절 만나 우정을 맺은 '''박태수'''와 '''성송연''', 아버지가 중용했던 충신 등의 도움으로 조정 내 잘못된 관습을 철폐하고, 당시 정책에 개혁을 더하는 등, 자신의 이상으로 하는 정책을 입안, 실행하였다. 또한 파벌을 가리지 않고 능력이 있는 자를 등용하여 조선 말기 문화에 꽃을 피웠다.
송연은 혜경궁의 반대에 부딪혀 산의 청혼을 거절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후궁이 되어 아들 문효세자도 얻는다. 간택후궁 화빈 윤씨는 신료들을 움직여 문효세자의 세자 책봉 때 송연의 비천한 출신 신분을 들어 반대하지만 송연에게 남겨준 영조의 옥가락지 덕분에 세자에 책봉된다. 하지만 문효세자는 홍역으로 훙서하고 송연 역시 임신 만삭의 몸으로 졸한다. 산은 슬픔 속에서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고 14년의 세월이 흘러 승하한다. 대수는 산의 무덤을 찾아 산이 이루지 못한 꿈을 백성들이 대신 이룰 것이라 말하며 흐느낀다.
4. 1. 어린 시절의 만남과 이별
임오년 1762년 윤 5월, 훗날 정조가 되는 세손 산은 상직소환(어린 내관)으로 위장하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갇혀있는 창덕궁 시민당으로 향한다. 그 때 생각시 송연(훗날 의빈 성씨), 내관이 되기 싫어 궐을 탈출하려던 대수(모티브 백동수)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산은 송연과 대수의 도움을 받아 영조에게 사도세자의 그림을 전하지만, 그 순간 이미 사도세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좌절한다. 이 일로 송연과 대수는 궐에서 쫓겨나지만 산을 원망하지 않고, 세 사람은 평생을 함께 할 동무가 되기로 약속한다.
9년 후 1771년, 산은 도화서 다모가 된 송연과 재회한다.
4. 2. 성인이 된 정조와 붕당 정치의 갈등
1762년(임오년) 윤 5월, 세손 산(훗날 정조)은 상직소환(어린 내관)으로 위장하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갇혀있는 창덕궁 시민당으로 향한다. 이 때 생각시 송연(훗날 의빈 성씨), 내관이 되기 싫어 궐을 탈출하려던 대수(백동수를 모티브로 함)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세 사람은 평생을 함께 할 동무가 되기로 약속한다.9년 후 1771년, 산은 도화서 다모가 된 송연과 재회한다. 산과 송연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지만, 혜경궁 홍씨는 송연을 청국 예부사 화원으로 떠나게 한다. 5년 후 1776년, 송연이 돌아오고 사도세자의 진심을 알게 된 영조는 눈물로 후회하며 숨을 거둔다.
임금이 된 산은 역모와 홍국영의 변심 등 여러 시련을 겪으면서도 백성들을 위한 개혁 정치를 펼친다. 조선 제22대 국왕인 '''정조'''인 '''이산'''을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이다. 조정 내 파벌 다툼이나 당시 조정 내 기관인 도화서(주로 조정에서 일어난 행사를 그림으로 기록하기 위한 부서) 등에 초점을 맞춰, 이산의 즉위를 막으려는 음모, 즉위 후에도 끊임없이 생명의 위협을 받으면서 정치 개혁에 착수하는 이산의 파란만장한 스토리가 펼쳐진다. 당시 조정 내에는 노론이라고 불리는 파벌이 중시되었고, 노론과 대립하는 소론 및 남인을 지지하는 이산은 항상 노론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지만, 어린 시절 만나 우정을 맺은 '''박태수'''와 '''성송연''', 아버지가 중용했던 충신 등의 도움으로 조정 내 잘못된 관습을 철폐하고, 당시 정책에 개혁을 더하는 등, 자신의 이상으로 하는 정책을 입안, 실행하는 한편, 파벌을 가리지 않고 능력이 있는 자를 등용하여 조선 말기 문화에 꽃을 피웠다.
4. 3. 정조의 개혁 정치와 사랑
임오년 1762년 윤 5월, 세손 산(훗날 정조)은 상직소환(어린 내관)으로 위장하고 아버지 사도세자가 갇혀있는 창덕궁 시민당으로 향한다. 이때 생각시 송연(훗날 의빈 성씨), 내관이 되기 싫어 궐을 탈출하려던 대수(모티브 백동수)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산은 송연과 대수의 도움으로 영조에게 사도세자의 그림을 전하지만, 이미 사도세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좌절한다. 이 일로 송연과 대수는 궐에서 쫓겨나지만 산을 원망하지 않고, 세 사람은 평생을 함께 할 동무가 되기로 약속한다.9년 후 1771년, 정후겸은 산을 곤경에 빠뜨리기 위해 청국에 조공할 백우포를 훔친다. 이때 도화서 다모가 된 송연이 황우포를 호분(백색 안료)으로 염색하는 기지를 발휘하여 이를 해결하고, 산과 재회한다. 산과 송연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지만, 사도세자가 궐 밖 여인을 들인 일로 영조의 미움을 샀던 일이 재현될까 두려운 혜경궁 홍씨는 송연을 청국 예부사 화원으로 떠나게 한다.
송연이 떠난 뒤에야 자신의 마음을 깨달은 산은 5년 후 1776년, 우여곡절 끝에 송연이 돌아오고 사도세자의 진심을 알게 된 영조는 눈물로 후회하며 숨을 거둔다.
임금이 된 산은 역모와 홍국영의 변심 등 여러 시련을 겪으면서도 백성들을 위한 개혁 정치를 펼친다. 조선 제22대 국왕인 '''정조'''는 조정 내 파벌 다툼에도 불구, 즉위 후 끊임없이 생명의 위협을 받으면서도 정치 개혁에 착수한다. 그는 노론과 대립하는 소론 및 남인을 지지하여 항상 노론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았지만, 어린 시절 만나 우정을 맺은 '''박태수'''와 '''성송연''', 아버지가 중용했던 충신 등의 도움으로 조정 내 잘못된 관습을 철폐하고, 당시 정책에 개혁을 더하는 등, 자신의 이상으로 하는 정책을 입안, 실행하였다. 또한 파벌을 가리지 않고 능력이 있는 자를 등용하여 조선 말기 문화에 꽃을 피웠다.
송연은 혜경궁의 반대에 부딪혀 산의 청혼을 거절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후궁이 되어 아들 문효세자도 얻는다. 간택후궁 화빈 윤씨는 신료들을 움직여 문효세자의 세자 책봉 때 송연의 비천한 출신 신분을 들어 반대하지만 송연에게 남겨준 영조의 옥가락지 덕분에 세자에 책봉된다. 하지만 문효세자는 홍역으로 훙서하고 송연 역시 임신 만삭의 몸으로 졸한다. 산은 슬픔 속에서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고 14년의 세월이 흘러 승하한다. 대수는 산의 무덤을 찾아 산이 이루지 못한 꿈을 백성들이 대신 이룰 것이라 말하며 흐느낀다.
4. 4. 문효세자의 죽음과 정조의 말년
문효세자는 1784년(정조 8)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뒤인 1786년에 홍역으로 훙서하였다. 화빈 윤씨는 문효세자의 세자 책봉 때 송연의 비천한 출신 신분을 들어 반대했지만, 송연에게 남겨준 영조의 옥가락지 덕분에 세자에 책봉될 수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의빈 성씨 또한 임신 만삭의 몸으로 졸하였다. 정조는 슬픔 속에서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고 14년의 세월이 흘러 승하한다. 대수는 산의 무덤을 찾아 산이 이루지 못한 꿈을 백성들이 대신 이룰 것이라 말하며 흐느낀다.5. 역사적 사실과 오류, 차이점
5. 1. 역사적 사실
《이산》은 《어제의빈묘지명》이나 《이재난고》가 번역되기 전의 작품임에도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극중 성송연은 1762년(임오년)에 궁녀로 입궐해 산과 어린 시절부터 사랑하는 것으로 그려지는데, 실제 의빈 성씨도 그 해 궁녀로 입궐해 14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정조의 후궁 제안을 받았다고 한다.
- 극중 성송연은 후궁이 되어 달라는 산의 말에 도화서 화원이 되겠다며 거절하는데, 실제 의빈 성씨도 정조의 승은을 거절했다고 한다. 1766년 정조의 승은을 거절하고 14년 후인 1780년 다시 거절하다가 정조가 그녀의 아랫사람을 벌주자 승은을 입었다.
- 극중 문효세자의 세자 책봉 때 신료들이 성송연의 출신 성분 때문에 반대하는 에피소드가 나오는데, 실제로도 의빈 성씨의 아버지가 홍봉한의 청지기였기 때문에 신료들이 반대하다가 파직당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의빈 성씨의 아버지 성윤우는 정조의 외조부 홍봉한의 청지기였다.
- 의빈 성씨는 1762년 혜경궁 홍씨의 궁녀로 입궁했다.
- 의빈 성씨는 1773년 청연공주, 청선공주와 《곽장양문록》을 필사했다.
- 의빈 성씨의 본명은 '성덕임'이다.
5. 2. 역사적 오류
실제 의빈 성씨는 궁녀였으나 극중 성송연은 도화서 다모로 등장한다. 이는 정조시대의 미술을 보여주기 위한 설정이었다고 한다. 실제 원빈 홍씨는 임신한 적이 없으나 극중에서는 상상임신한 것으로 나온다. 실제 화빈 윤씨는 상상임신이었으나 극중에서는 딸을 낳은 것으로 나온다.6. 평가 및 영향
SBS 월화 드라마 《왕과 나》 아역 배우들의 인기로 시청률이 크게 뒤처졌으나 템포 있는 극 전개로 시청률 30%를 넘나들며 월화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지키며 인기를 끌었으며 2008년 6월 16일 종영하였다. 원래는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7회 연장되어 77부작으로 연장되었다.[41] 2009년 8월 2일부터 일본 NHK BS 2에서 방송되었다. 2009년부터 2010년 루마니아 TVR1에서 왕궁의 폭풍()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는데 자국 드라마를 제치고 시청률 1위를 기록하였으며 최고 시청률은 4.4%로 큰 인기를 끌었다.[41] 2011년 홍콩 aTV에서 방영되었다.
지상렬(화원 이천 역)은 해당 프로그램에 캐스팅되어 KBS 2TV 《1박 2일》에서 하차했고 본 프로그램에서는 지상렬에 앞서 김구라가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42] MBC와 100회 출연 계약이 있어 거절했다.
6. 1. 시청률과 인기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방영된 드라마 《이산》은 방영 내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40][39] 초반에는 SBS 월화 드라마 《왕과 나》에 밀려 고전하기도 했지만, 빠른 전개와 흥미로운 스토리로 시청률 30%를 넘나들며 월화 드라마 시청률 1위를 굳건히 지켰다.[41]평균 시청률은 전국 26.8%, 수도권 28.5%를 기록했으며, 최고 시청률은 전국 35.5%, 수도권 39.2%를 기록했다.[40][39] 특히, 2008년 2월 11일에 방영된 42회는 수도권 시청률 38.6%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다.[40]
2007년 ~ 2008년 주간 시청률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39] | AGB 시청률[40] | |
서울(수도권) | 한국(전국) | 서울(수도권) | ||
1회 | 9월 17일 | 14.2% | 13.5% | |
2회 | 9월 18일 | 14.7% | 13.4% | |
3회 | 9월 24일 | 11.4% | 11.8% | |
4회 | 9월 25일 | 15.0% | 14.4% | |
5회 | 10월 1일 | 18.6% | 17.0% | |
6회 | 10월 2일 | 18.4% | 17.2% | |
7회 | 10월 8일 | 21.7% | 19.7% | |
8회 | 10월 9일 | 22.4% | 19.7% | |
9회 | 10월 15일 | 20.3% | 18.9% | |
10회 | 10월 16일 | 20.9% | 19.1% | |
11회 | 10월 22일 | 18.5% | 17.9% | |
12회 | 10월 23일 | 26.1% | 26.6% | |
13회 | 10월 29일 | 23.9% | 23.2% | |
14회 | 10월 30일 | 23.5% | 21.8% | |
15회 | 11월 5일 | 23.2% | 22.3% | |
16회 | 11월 6일 | 23.3% | 22.7% | |
17회 | 11월 12일 | 24.3% | 23.5% | |
18회 | 11월 13일 | 24.9% | 23.9% | |
19회 | 11월 19일 | 24.7% | 23.4% | |
20회 | 11월 20일 | 24.6% | 23.9% | |
21회 | 11월 26일 | 25.8% | 23.4% | |
22회 | 11월 27일 | 24.3% | 21.5% | |
23회 | 12월 3일 | 23.9% | 20.6% | |
24회 | 12월 4일 | 24.6% | 22.3% | |
25회 | 12월 10일 | 24.6% | 21.3% | |
26회 | 12월 11일 | 25.7% | 24.7% | |
27회 | 12월 17일 | 24.3% | 23.9% | |
28회 | 12월 18일 | 25.5% | 24.1% | |
29회 | 12월 24일 | 26.3% | 24.0% | |
30회 | 12월 25일 | 31.3% | 29.7% | |
2008년 | ||||
31회 | 1월 1일 | 29.2% | 28.5% | 31.9% |
32회 | 30.8% | 29.8% | 33.3% | |
33회 | 1월 7일 | 28.1% | 28.0% | 30.9% |
34회 | 1월 8일 | 29.0% | 27.4% | 30.1% |
35회 | 1월 14일 | 31.3% | 28.3% | 32.0% |
36회 | 1월 15일 | 29.4% | 28.0% | 30.9% |
37회 | 1월 21일 | 28.8% | 28.8% | 32.0% |
38회 | 1월 22일 | 30.3% | 30.2% | 33.8% |
39회 | 1월 28일 | 32.3% | 31.0% | 33.8% |
40회 | 1월 29일 | 35.3% | 33.3% | 37.3% |
41회 | 2월 4일 | 36.3% | 34.1% | 36.8% |
스페셜 | 2월 5일 | 23.9% | 25.1% | 27.8% |
42회 | 2월 11일 | 38.6% | 34.7% | 38.1% |
43회 | 2월 12일 | 38.0% | 35.5% | 39.1% |
44회 | 2월 18일 | 37.0% | 35.4% | 39.2% |
45회 | 2월 19일 | 35.6% | 33.0% | 36.4% |
46회 | 2월 25일 | 38.4% | 35.1% | 37.9% |
47회 | 2월 26일 | 35.5% | 33.8% | 37.0% |
48회 | 3월 3일 | 33.8% | 33.3% | 37.0% |
49회 | 3월 4일 | 32.9% | 31.9% | 34.6% |
50회 | 3월 10일 | 32.0% | 31.0% | 34.9% |
51회 | 3월 11일 | 30.9% | 29.4% | 32.5% |
52회 | 3월 17일 | 32.6% | 27.9% | 30.7% |
53회 | 3월 18일 | 30.6% | 28.3% | 31.8% |
54회 | 3월 24일 | 31.7% | 29.4% | 33.5% |
55회 | 3월 25일 | 30.2% | 27.9% | 31.4% |
56회 | 3월 31일 | 26.2% | 26.5% | 29.2% |
57회 | 4월 1일 | 29.1% | 26.6% | 28.6% |
58회 | 4월 7일 | 34.6% | 31.6% | 34.3% |
59회 | 4월 8일 | 33.3% | 32.5% | 35.5% |
60회 | 4월 14일 | 30.7% | 28.4% | 31.2% |
61회 | 4월 15일 | 31.2% | 29.2% | 31.6% |
62회 | 4월 21일 | 32.8% | 31.4% | 33.7% |
63회 | 4월 22일 | 32.5% | 29.3% | 31.9% |
64회 | 4월 28일 | 31.2% | 28.0% | 30.1% |
65회 | 4월 29일 | 32.2% | 30.2% | 33.0% |
66회 | 5월 5일 | 32.6% | 30.2% | 33.5% |
67회 | 5월 6일 | 33.5% | 32.9% | 36.2% |
68회 | 5월 12일 | 33.7% | 31.5% | 34.7% |
69회 | 5월 13일 | 34.4% | 29.8% | 33.0% |
70회 | 5월 19일 | 35.6% | 31.8% | 35.4% |
71회 | 5월 20일 | 32.8% | 31.3% | 34.4% |
72회 | 5월 26일 | 32.0% | 30.7% | 33.8% |
73회 | 5월 27일 | 30.4% | 29.0% | 31.4% |
74회 | 6월 2일 | 32.0% | 30.9% | 33.1% |
75회 | 6월 3일 | 30.9% | 28.9% | 31.2% |
76회 | 6월 9일 | 35.3% | 31.4% | 33.5% |
스페셜 | 6월 10일 | 26.1% | 26.7% | 29.4% |
77회 | 6월 16일 | 31.1% | 27.4% | 29.8% |
평균 시청률 | 28.5% | 26.8% | % | |
당초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높은 인기에 힘입어 17회 연장된 77부작으로 종영했다.[41] 40%에 육박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산과 성송연의 러브 스토리 진전이 늦어지면서 시청률이 다소 하락하기도 했다. 이에 제작진은 두 사람의 러브 스토리를 중심으로 극을 전개하며 시청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16부작 연장을 결정했다.
6월 16일 마지막 회 방영 후 스페셜 특집 방송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특별 방송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방송 일정이 연기되었다. 또한, 최종회에서 다뤄야 할 내용이 많아 최종회 분량이 연장되면서, 총 77부작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2008년 2월 5일에는 1회부터 40회까지의 하이라이트, 촬영 비하인드 스토리, NG 장면, 명장면 및 명대사 모음 등을 담은 스페셜 프로그램이 방영되었으며, 이 외에도 총 3번의 스페셜 프로그램이 방영되었다.
《이산》은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2009년 일본 NHK BS 2에서 방송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루마니아 TVR1에서 '왕궁의 폭풍'()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어 자국 드라마를 제치고 시청률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최고 시청률은 4.4%였다.[41] 2011년에는 홍콩 aTV에서 방영되었다.
한편, 지상렬은 해당 프로그램에 캐스팅되면서 KBS 2TV 《1박 2일》에서 하차했다. 원래 지상렬에 앞서 김구라가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MBC와의 100회 출연 계약 문제로 인해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42]
6. 2. 수상 경력
2007년 MBC 연기대상에서 남자 최우수상은 이서진이, 여자 우수상은 한지민이 수상했다.[9][10] 또한 한상진은 남자 신인상을, 박지빈은 아역상을 수상했으며, 이순재는 사극 부문 황금 연기상을 수상했다.[9][10] 김이영 작가는 TV 부문 올해의 작가상을 받았다.[9][10]2008년에는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연출상을 이병훈이 수상했고,[11][12] 제3회 좋은 방송 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6. 3. 해외 방영 및 한류 열풍
《이산》은 대한민국에서 2008년 6월 16일에 종영되었으며, 원래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7회 연장되어 77부작으로 방송되었다.[41] SBS 월화 드라마 《왕과 나》와 경쟁하였으나, 템포 있는 극 전개로 30%를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월화 드라마 1위를 지켰다.[41]해외에서도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2009년 NHK BS 2에서 일본어 더빙판으로 방송되었고,[41]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루마니아 TVR1에서 "왕궁의 폭풍"(Furtuna la palatro)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어 자국 드라마를 제치고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41] 2011년에는 홍콩 aTV에서 방영되었다.[41]
스리랑카에서는 2014년 7월 7일부터 2015년 2월 9일까지 싱할라어 더빙판이 루파바히니에서 "야하팟 마하라자"(යහපත් මහරජsi)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일본에서는 2008년 10월 18일부터 2009년3월 29일까지 위성 극장, 위성 극장 HD에서 일본어 자막판이 방영되었다. 이후 2009년 8월 2일부터 2011년2월 13일까지 NHK-BS2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방영되었고, 2010년6월 18일부터 2011년 3월 25일까지 NHK-BShi에서 노컷・일본어 자막판이 방영되었다. 2011년4월 3일부터 2013년1월 13일까지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14][15]
민방 지상파에서는 2013년9월 12일부터 TV 도쿄의 "한류 프리미어"에서 방송되었고,[16] 2014년1월 7일부터 CBC, 3월 3일부터 BS-TBS에서도 방영되었다. 2017년에는 홈 드라마 채널에서 방영되었고, 2018년 4월 19일부터는 AbemaTV의 "한류・화류 드라마"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2021년 이후에도 BS 닛테레, CS 채널 은하, TV 오사카, TV 도쿄, BS 닛테레, TV 홋카이도 등 다양한 채널에서 지속적으로 방영되고 있다.
7. 여담
한지민은 영화 조선명탐정에서 정조시대의 객주 역을 연기했다. 정재곤은 드라마 홍국영에서 정조 역을, 나성균은 홍낙춘 역을 연기했다.
이산의 촬영은 수원 화성에서도 이루어졌지만, 주요 로케이션은 용인시에 있는 MBC 드라미아(MBC 문화동산 오픈 세트)에서 진행되었다. MBC 드라미아에서는 이 외에도 허준, 상도, 대장금, 일지매, 신돈, 태왕사신기, 주몽 등이 촬영되었다.
드라마 종반, 이서진, 한지민, 이순재 등 주요 배우들이 한국방송영화공연예술원 노동조합에 가입하여 출연료 문제로 MBC와 갈등을 빚었고, 파업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 연출을 맡은 이병훈은 톱스타의 개런티가 자신의 연출료의 4배에 달한다며 출연료에 대한 부담을 드러내기도 했다. 방송 종료 후에도 제작사 측에서 이서진, 한지민 등 주요 출연진에게 출연료가 지급되지 않아 법적 조치를 취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병훈 감독이 연출한 탓에 '대장금' 관련 대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수라간에서 "전생에 여기서 일했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등의 대사가 그 예시이다.
수원 화성 행궁 벽화에는 실제로 도화서가 그린 것으로 보이는 수십 미터에 달하는 행차 그림이 있으며, 정조, 혜경궁, 효의왕후, 장용영 등이 그려져 있다.
극 중 백동수가 저술한 것으로 묘사된 '무예도보통지'는 실제로는 백동수가 무술 기술 지도를, 박제가와 이덕무가 책의 설명과 편찬을 담당했고, 그림 해설은 도화서의 화원 김홍도가 담당했다.
드라마에는 출연하지 않지만, 당시 도화서에는 김홍도와 신윤복이 쌍벽을 이루었다. 김홍도는 어진 화사를 세 번 역임하고 서민들의 삶을 그린 풍속화를 다수 남겼으며, 신윤복은 남녀 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풍속화를 잘 그렸으나 비속한 그림을 많이 그려 도화서에서 쫓겨났다고 전해진다. 이 두 사람을 소재로 한 드라마로 바람의 화원이 있다.
이서진은 2009년 9월에 일본을 방문하여 팬미팅, 드라마 'Freeze' 기념 기자회견, '이산'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또한,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대표를 예방하여 한류 드라마 팬인 그의 부인과 함께 영어로 회담을 가졌다.
참조
[1]
웹사이트
Lee San, Wind of the Palace
http://content.mbc.c[...]
2016-11-10
[2]
웹사이트
King Jeongjo an idol of Korean modern media
http://koreajoongang[...]
2014-05-14
[3]
웹사이트
TV Falls in Love with Epic Dramas
https://www.koreatim[...]
2007-09-18
[4]
웹사이트
′Horse Doctor′ to Air in Japan and Other Asian Countries
http://mwave.interes[...]
CJ E&M
2013-03-08
[5]
웹사이트
이서진 "'이산'의 이산은 나니까 어깨 무거워"
http://m.hani.co.kr/[...]
2007-11-19
[6]
웹사이트
드라마 '이산' 히로인 한지민
https://shindonga.do[...]
2007-12-07
[7]
웹사이트
이종수, 드라마 '이산'서 부상투혼
https://www.hankyung[...]
2007-11-19
[8]
웹사이트
견미리, '이서진이 엄마래요'
https://www.hankyung[...]
2007-09-08
[9]
웹사이트
'이산' 팀의 뜨거운 동료애로 'MBC 연기대상' 웃음 작렬
https://www.edaily.c[...]
2007-12-31
[10]
웹사이트
'이산' 이서진 "키스신만 없었으면 좋겠다"
https://www.hankyung[...]
2007-12-31
[11]
웹사이트
Baeksang Arts Awards 2008
https://www.kdramapa[...]
[12]
웹사이트
Winners of the 44th Baeksang Art Awards (제44회 백상예술대상, 4/24/2008)
https://www.soompi.c[...]
2008-04-25
[13]
문서
最終話を除き、毎週各2話連続で放送されていた。
[14]
문서
登場人物の台詞は、イ・サン(主人公)は[[黄色]]で、パク・テスは[[緑色]]で、ソン・ソンヨンは[[水色]]で表記される。
[15]
문서
第66話(2012年10月6日)のみ16:30から17:30。
[16]
문서
NHK版とは違いCMが入るため、実質45分弱に更にカットされている。
[17]
문서
例として「ホン・グギョン」と「クギョン」。またハングル表記で表す場合、[[パッチム]]の連音化等で呼び方も変わることがある(例:「パク・タロ」→「パク・タロ」「ムドク」→「ムドキ」。同じような例として『[[オールイン 〜運命の愛〜]]』の主人公「キム・イナ」の呼称について「キム・インハ」と書かれていたりする)
[18]
문서
但し、父・思悼世子や、祖父・英祖から、サンと呼ばれたことが稀にあった。また、ソンヨンにも2度ほどサンと呼ばせている。
[19]
문서
先王英祖から与えられた[[淑嬪崔氏]](英祖の生母)の形見の指輪を大切に保管していた事で、入宮する前から英祖に認められていたことからわかり、晴れて昇叙した。
[20]
문서
自ら去勢をしようとすれば恐怖のあまり[[失禁]]までする程で、宮中に戻りたいが為にパク・タルホに自身の去勢を懇願したりしていた。
[21]
문서
この症状が「認知症」と呼ばれる様になったのは、2004年からである。それまでは「痴呆」と呼ばれていたが、この言葉は侮蔑的な意味があると同時に現代的な表現を取り入れる事によって視聴者に解り易くする為の配慮であり、『イ・サン』の時代(ここでは[[英祖 (朝鮮王)|英祖]]が亡くなった[[1776年]])では「認知症」と呼ぶのは本来ならば誤りである。また、本作では「認知症」の言葉以外にも現代的なアレンジが随所に加えられている。
[22]
문서
[[メハジキ]]。婦人科全般に効果があるが、[[子宮]]収縮作用があるため妊婦には禁忌の薬剤である。[[不妊症]]に苦しんでいた孝懿王妃は[[益母草]]を常用していたため、妊娠しているはずの元嬪が益母草を服用しているのはおかしいとすぐに気がついた。
[23]
문서
グギョンが失脚後のチョンスン大妃を含む老論派と内通していた事をサンにバラそうとしていた。
[24]
문서
ソ・ユナ本人は「イ・サン」にキャスティングされていたが、出演シーンそのものがカットとなったので出演していない。
[25]
문서
孝懿王妃の代わりにサンが宴に出席した為、王妃が食べる筈だった蕎麦をサンが食べる事になった。計画を中止したため事無きを得るが、グギョンが自首するきっかけになってしまった
[26]
문서
但し、グギョンの失脚後もサンは彼の身を案じていた
[27]
문서
流刑地で独り佇む姿がある程度である
[28]
문서
孝懿王妃の許可なく独断で恵慶宮と対面し、ソンヨンについて在ること無いこと言いたてたことがその原因である。しかし、後の行動を見る限り、自身の行動が恵慶宮とソンヨンの関係を悪くしたことを覚えていないようである。
[29]
문서
作中、重臣は上の職位から順に赤・青・緑の文官服を着用するが、ホン・グギョンはこの時点でまだ緑色の文官服だった。
[30]
문서
自分達が600本の矢を撃ったのに対し、サンは1000本の矢を撃った。なお、サンはこの事で自身の右肩を痛めている。
[31]
문서
当のイ・チョンは妓楼に興味が無く、ウムダムは妓楼では出された料理に殆ど手を付けず、イ・チョンはその代金を全てなけなしの所持金から支払っていた。また、この一件でイ・チョンは家庭崩壊の危機にまで陥っていた
[32]
문서
실제 의빈 성씨의 본명은 성덕임(成德任)이다.
[33]
문서
가운데 유재석, 정준하만 대사가 있었으며 노홍철은 2008년 1월 15일 방송 분에 모습을 비췄다.
[34]
문서
가운데 유재석, 정준하만 대사가 있었으며 노홍철은 2008년 1월 15일 방송 분에 모습을 비췄다.
[35]
문서
가운데 유재석, 정준하만 대사가 있었으며 노홍철은 2008년 1월 15일 방송 분에 모습을 비췄다.
[36]
문장
[37]
문장
[38]
문장
[39]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40]
웹사이트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s://www.nielsenk[...]
[41]
웹인용
Coreenii de pe TVR 1, mai tari ca Narcisa sălbatică și State de România. Topul programelor în 2010
https://www.paginade[...]
[42]
뉴스
"비슷한 거 너무 많아!" 김구라, 여의도·상암동에 날린 팩트폭력 ('구라철') [종합]
https://entertain.na[...]
OSEN
2021-12-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배우 정명환, 심근경색으로 별세…오늘(11일) 발인 | JTBC 뉴스
‘허준’ ‘이산’ 배우 정명환 별세…향년 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